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생활 정보

대중교통 버스 교통비 지원 대상 지역 신청

by 조건부경력 2023. 4. 23.

무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일정 금액의 교통비를 지급하는 지자체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당지역이시면 미리 알고 계시다 기간에 맞춰 신청을 하셔야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버스 교통비 지원 대상 지역 신청에 대해 아래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교통비지원_썸네일

 

대중교통 버스 교통비 지원 대상 지역

화성시: 만 65세 이상 무상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해지며, 지패스 카드로 선결제 후 매달 교통비 정산 후 계좌로 입금됩니다. 광명시: 만 65세 이상 분기당 4만 원씩 연간 최대 16만 원 교통비를 지원하며, 농협, 축협에서 지패스 발급 후 사용가능 합니다. 남양주시: 만 65세 이상 연간 최대 12만 원 교통비가 지급되며, 지패스 선결제 후 매달 교통비 정산 후 농협이나 축협  본인계좌로 입금됩니다. 안성시: 만 65세 이상 무상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며 4월부터 농협, 축협 지점에서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지패스 카드 선결제 후 분기별 정산 후 개인 계좌로 입금됩니다. 포천시: 만 65세 이상 연간 20만 원 지급되며, 무상교통홈페이지에서 지패스 카드 등록을 하고 지패스 카드 선결제 후 매월 교통비 정산 후 계좌로 입금됩니다. 안양시: 만 65세 이상 분기별 4만 원씩 총 16만 원을 안양시 운행되는 시내버스, 마을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급됩니다. 양평군: 하반기부터 만 65세 이상 연간 16만 원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분기별 4만 원씩 지급할 예정이니다. 의왕시: 10월부터 만 65세 이상 연간 20만 원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를 분기별 5만 원씩 지급할 예정입니다. 성남시: 만 70세 이상 분기별 5만 7천5백 원씩 연간 최대 23만 원 성남지역 NH농협에서 지패스 발급 후 선결제 후 3개월 단위로 교통비 정산 후 계좌로 지급됩니다. 옥천군: 만 70세 이상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천안시: 만 75세 이상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충청남도: 만 75세 이상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춘천시: 만 65세 이상 월 20회 이용이 가능한 봄내카드를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서 발급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정성군: 만 65세 이상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철원군: 만 70세 이상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강릉시: 만 75세 이상 월 20회 무료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경주시: 만 70세 이상13만 2천 원이 입금된 어르신택시카드를 지원합니다. 연초에 자동으로 충전되는 시스템입니다.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서 신청입니다. 경상북도: 만 70세 이상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청송군: 전군민이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창원시: 10월부터 만 75세 이상 무료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하동군: 하반기부터 만 45세 이상 버스비 100원 탑승이 가능합니다. 대구시: 하반기 만 70세 이상 무료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합니다.

 

대중교통 버스 교통비 신청

만 45세 이상부터 만 75세 이상까지 지역별 지원 나이와 금액, 지급방식이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신청은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셔서 진행이 가능합니다. 신청이 이미 진행된 지역도 있고 예정인 지역도 있습니다. 버스 교통비 지원 나이와 지역에 대해 음영표시 해 두었습니다. 신청 조건에 해당이 되신다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전화 문의 하신 후에 방문 신청 하면 됩니다. 두 번 발걸음 하시면 힘드시니 반드시 전화문의부터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자동으로 혜택을 주는 것이 아니라 신청을 해야지 받을 수 있는 혜택이므로 무조건 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마무리글

오늘은 대중교통 버스비 지원 사업에 대해 안내를 해드렸습니다. 지자체별로 해당되는 나이도 금액도 지원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더욱 자세히 안내드리기엔 무리가 있었습니다. 무료 또는 지원을 받을 수 있음에도 몰라서 신청을 못했거나 귀찮다고 신청을 안 하는 일은 없어야 되겠습니다. 국가에서 지원을 하는 사업은 시간을 내셔서 신청을 하시고 꼭 혜택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거주하시는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문의하시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댓글